
제9호 태풍 '마이삭'이 매우 강한 태풍으로 발달해 우리나라를 향해 북상하면서 태풍 영향권에 들어서는 지자체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각 지자체는 태풍 피해 최소화를 위해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긴급 가동하고 지자체별 상황에 따라 비상 근무체제에 돌입할 예정이다.
1일 기상청에 따르면 오전 9시 기준 마이삭은 일본 오키나와 서쪽 약 200㎞ 부근 해상에서 시속 13㎞의 속도로 북북서진 중이다. 중심기압은 935hPa, 강풍반경은 380㎞, 최대풍속은 초속 49m이다.
마이삭은 2일 오후 9시 서귀포 동쪽 약 150㎞ 부근 해상을 지나 3일 새벽 부산 인근에 상륙해 영남 지역 도시들을 관통한 뒤 강원도 동해안으로 빠져나갈 전망이다. 이날 늦은 밤 제주도 남쪽 먼바다를 시작으로 3일까지 전국이 태풍의 영향권에 들게 된다.
태풍의 영향으로 제주는 이날 아침, 전남은 밤부터 비가 내리고 2∼3일에는 전국에 매우 강한 비바람이 몰아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마이삭은 직전 태풍 '바비'보다 강할 전망이며 거센 바람이 부는 동시에 많은 비를 뿌릴 것으로 보여 큰 피해가 예상된다.
태풍 마이삭으로 인한 예상 강수량은 강원 영동·경북 동해안·울릉도·독도·경남·제주도 100∼300㎜(많은 곳 400㎜ 이상), 서울·경기·강원 영서·충북·경북(동해안 제외) 100∼200㎜, 충남·전라도·서해5도 50∼150㎜다.
최대순간풍속은 제주도·경상 해안 시속 108∼180㎞(초속 30∼50m), 강원 영동·남부지방(경상 해안 제외) 72∼144㎞(초속 20∼40m), 그 밖의 지방 36∼108㎞(초속 10∼30m)로 예상된다.
바람의 세기가 초속 40∼60m면 사람이 걸어 다닐 수 없는 정도이며, 시설물이 바람에 날려 훼손되거나 부서질 수 있다. 각 지자체는 태풍 '마이삭'이 2002년 큰 피해를 줬던 태풍 '루사'와 2003년 태풍 '매미'의 경로와 유사해 각별한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