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은 지난 22일 열린 장·차관 워크숍에서 “‘국회가 대한민국 두뇌 역할인데, 국회와 소통을 많이 해달라’고 윤석열 대통령이 지시했다”고 밝혔다.
김대기 비서실장은 24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요새는 국회 없이는 아무 일을 할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비서실장은 “국무위원이나 내각 입장에서도 국회랑 소통해라. 지난 금요일에 워크숍에서도 하여간 국회 가서 소통하고 발이 닳도록 국회 드나들라는 그런 말들이 있었다”며 “정성을 보이고 결국 나라를 잘되게 하는 것이 정치인의 목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연금·노동·교육 3대 개혁도 국회 협조 없이는 아무것도 못 하니까 (장관들이) 국회에 가서 세미나도 많이 열고 행정부 사무실에만 앉아있지 말고 전문가도 많이 만나고 소통을 하라고 (대통령이) 주문했다”고 부연했다.
김 실장은 ‘국회 차원의 협치를 이끌어 낼 복안이 있느냐’고 묻자 “저는 9년 만에 다시 국정에 돌아왔는데, 9년 전보다 정치 상황이나 모든 게 사나워졌다”며 “거칠다고 그럴까, 서로 협조보다는 투쟁이랄까 그런 게 너무 많아서 걱정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역사를 보면, 대내외 환경 변화가 급격히 일어날 때 우리끼리 싸우면 파탄이 났다. 임진왜란 때도, 정묘호란 때도 그렇고”라며 “갈라진 민심, 이런 것은 다듬어져야 된다”고 덧붙였다.
김 실장은 장·차관 워크숍에서 “경제가 앞으로도 좋아질 것 같지 않아서 걱정인데 기재부·산자부 이런 곳에만 의존하지 말고 국방부는 방산, 국토부는 해외 건설, 농업은 스마트팜 등 각 부처가 경제 살리기에 매진해달라는 부탁도 있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