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이 현재의 당 상황을 '비상상황'이라고 결론 내리며 비상대책위원회로의 전환을 추인했다. 이에 따라 오는 9일 전국위에서 비대위원장 임명이 이뤄질 경우 비대위 체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민의힘은 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상임전국위원회를 열고 현재 당 상황이 '비상상황'에 해당한다고 결론 내렸다.
이준석 대표가 6개월 당원권 정지 징계를 받았고, 최고위원회 역시 위원들의 잇단 사퇴 의사로 그 기능을 잃었다고 최종 판단한 것이다.
상임전국위는 당 대표 직무대행이 비대위원장을 임명할 수 있도록 당헌도 개정하기로 했다.
현재 당헌대로라면 당 대표, 또는 대표 권한대행만 비대위원장을 임명할 수 있는데, 사퇴 의사에도 아직 당 대표 직무대행직을 유지하고 있는 권성동 원내대표도 비대위원장 임명이 가능하도록 규정을 바꾸자는 의도다.
국민의힘은 이르면 오는 9일 전국위원회에서 이런 내용의 당헌 개정안을 의결하고, 비대위원장을 선출할 계획이다.
국민의힘 당헌은 비대위원장이 당 대표의 지위와 권한을 가진다고 규정하고 있어 비대위 출범과 동시에 이준석 대표는 자동 해임될 전망이다.
따라서 친이준석계 의원을 중심으로 비대위가 출범해도 현재의 대표직 유지가 가능하도록 당헌을 바꾸자는 제안도 나왔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한편, 이준석 대표는 이날 자신의 SNS에 "선출된 당 대표가 당내 상황에 대해 이야기하는 걸 두고 '내부 총질'이라 인식하는 건 한심하다"는 글을 올렸다.
앞서 '내부 총질이나 하던 당 대표'라는 윤석열 대통령 문자 내용을 정면으로 비판한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