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이후 흔한질환「척추관협착증」환자, 50대 이상이 93% 차지
상태바
중년이후 흔한질환「척추관협착증」환자, 50대 이상이 93% 차지
  • 송경희 부장/기자
  • 승인 2023.01.26 09: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1년 진료인원 1,799,328명 … 남성 686,824명, 여성 1,112,504명 -

척추관협착증(M48)은 척추 중앙의 척추관, 신경근과 또는 추간공이 좁아져서 허리의 통증을 유발하거나 다리에 여러 복합적인 신경증세를 일으키는 질환을 말함. (출처: 서울대학병원 의학정보)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척추관협착증(M48)’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하였다.

 진료인원은 2017년 1,647,147명에서 2021년 1,799,328명으로 152,181명 (9.2%)이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2.2%로 나타났다.

 남성은 2021년 686,824명으로 2017년 607,533명 대비 13.1%(79,291명), 여성은 2021년 1,112,504명으로 2017년 1,039,614명 대비 7.0%(72,890명) 증가하였다.

        < 2017년~2021년 ‘척추관협착증’ 질환 성별 진료인원>(단위: 명, %)

 1. 2021년 ‘척추관협착증‘ 질환, 70대가 31.4%(565천명) 차지

 2021년 기준 ‘척추관협착증’ 환자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1,799,328명) 중 70대가 31.4%(565,096명)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30.8%(554,551명), 80세 이상이 17.5%(314,544명) 순이었다.

 남성의 경우 6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30.6%로 가장 높았고, 70대가 29.6%, 50대가 15.3%를 차지하였으며,

 여성의 경우는 70대가 32.5%, 60대가 31.0%, 80세 이상이 19.0% 순으로 나타났다.

     < 2021년 ‘척추관협착증’ 질환 연령대별 / 성별 진료인원 > (단위: 명,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신재원 교수는 척추관협착증 여성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뼈를 만들어 골밀도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근육이 강화되도록 도움을 준다.
 폐경 이후 발생하는 에스트로겐의 감소는 뼈의 소실과 근육량 감소를 초래하고 척추 관절을 지탱하는 힘이 떨어져 척추관협착증과 같은 척추 질환의 발생을 가속화시키는 것으로, 폐경 이후 나타나는 급격한 호르몬의 변화가 원인”이라고 설명하였다.

 2. 2021년 ‘척추관협착증‘ 질환,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 3,500명

 인구 10만 명당 ‘척추관협착증’ 환자의 진료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1년 3,500명으로 2017년 3,233명 대비 8.3% 증가하였으며,

 남성은 2017년 2,376명에서 2021년 2,668명(12.3%)으로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7년 4,097명에서 2021년 4,334명(5.8%)으로 증가한 것으로나타났다.

    < 최근 5년간 ‘척추관협착증’ 질환 성별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 > (단위: 명, %)

※ 산출공식: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 = 진료인원 / 연도말 적용인구 × 100,000
※ 산출공식: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 = 진료인원 / 연도말 적용인구 × 100,000

 인구 10만 명당 ‘척추관협착증’ 환자의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80세 이상이 16,508명으로 가장 많았다.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80세 이상이 15,567명으로 가장 많고, 70대 12,777명, 60대가 6,183명 순이며,

 여성은 70대가 19,056명으로 가장 많고, 80세 이상이 17,012명, 60대가 9,606명 순으로 나타났다.

 3. 2021년 ‘척추관협착증‘ 질환, 총진료비 9천 280억 원 (‘17년 대비 30.1% 증가)

 ‘척추관협착증’ 환자의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2017년 7천 132억 원에서 2021년 9천 280억 원으로 2017년 대비 30.1%(2천 148억 원)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6.8%로 나타났다.

   < 2017년~2021년 ‘척추관협착증’ 질환 성별 총진료비 >(단위: 백만 원, %)

 2021년 기준 성별 ‘척추관협착증’ 환자의 건강보험 총진료비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대가 35.9%(3천 329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60대 30.1%(2천 793억 원), 80세 이상이 19.4%(1천 798억 원)순 이었으며,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과 여성 모두 70대가 각각 34.0%(1천 217억 원), 37.1%(2천 112억 원)로 가장 많았다.

    < 2021년 ‘척추관협착증’ 질환 연령대별 성별 총진료비 > (단위: 백만 원, %)

※ 총진료비는 반올림 관계로 합계와 내용의 합이 다를 수 있음
※ 총진료비는 반올림 관계로 합계와 내용의 합이 다를 수 있음

 4. 2021년 ‘척추관협착증‘ 질환, 1인당 진료비 51만 6천 원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5년 간 살펴보면, 2017년 43만 3천 원에서 2021년 51만 6천 원으로 19.1% 증가하였으며,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2017년 43만 7천 원에서 2021년 52만 2천 원으로 19.2%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7년 43만 원에서 2021년 51만 2천 원으로 19.0% 증가하였다.

     < 2017년~2021년 ‘척추관협착증’ 질환 성별 1인당 진료비 > (단위: 원, %)

 2021년 기준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대가 58만 9천 원으로 가장 많았고,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과 여성 모두 70대가 각각 59만 9천 원, 58만 4천 원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2021년 ‘척추관협착증’ 질환 연령대별 1인당 진료비 > (단위: 천 원)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신재원 교수는 '척추관협착증' 발생 원인 및 주요 증상, 예방법 등 주의사항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 ‘척추관협착증’이란?

 척추관협착증은 신경이 지나가는 공간이 좁아져서 신경을 누르는 병이다. 허리 디스크는 젤리와 같은 디스크 물질이 신경을 누르는데 반하여 척추관 협착증은 인대, 뼈, 관절 등이 비대해지거나 자라나와 척추관을 좁혀 신경을 누르게 된다.

○ ‘척추관협착증’의 발생 원인

 나이가 들면서 관절과 인대가 비대해지고 불필요한 뼈가 자라나와 척추관을 누르는 것이다. 추간판(디스크), 후관절 돌기, 추궁, 황색인대 등의 척추관을 구성하는 구조물에서 변성이 오면서 두꺼워져 척추관 전후, 좌우 사방이 좁아진다.

 여기에 척추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휘어 척수와 신경근을 직접 누르고 혈류장애를 일으켜 증상이 나타난다.

○ ‘척추관협착증’의 이상 환자가 많은 이유?

 나이가 들면서 우리 몸 이곳저곳에는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는데, 척추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사람은 다른 동물들과 달리 직립 보행을 하는데 이로 인한 척추의 부하는 퇴행성 변화를 유발한다.

 따라서 사람으로 살아가고 나이가 들면서 맞이하는 숙명과도 같은데 잘못된 생활습관은 척추에 퇴행성 변화를 빠르게 가져온다.

○ ‘척추관협착증’의 주요 증상

 환자분들이 병원에 방문하여 호소하는 대표적인 3대 증상으로는 다음과 같다.

① 조금만 걸어도 다리가 터질 것 같이 아파요.
② 걷다가 다리가 아파서 꼭 쉬었다 가게 돼요
③ 다리가 아플 때는 허리를 앞으로 구부리거나 의자에 앉으면증상이 좋아져요.

 또한 다리와 함께 엉덩이와 허리 통증을 호소하기도 하며 심할 경우 다리 쪽으로 감각이 떨어지거나 힘이 떨어지기도 한다.

○ '척추관협착증'의 예방법

 평상시의 생활습관을 올바르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양반다리를 하고 앉거나 쪼그려 일하는 자세는 되도록 피한다. 또한 무거운 물건을 들 때는 몸에 가까이 붙여서 무릎을 구부리고 들어 올린다.

 규칙적인 운동으로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도 척추의 부담을 줄여주는 방법의 하나이다.

○ '척추관협착증'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 시 위험성 

 척추관협착증의 진단과 치료가 늦어질 경우 척추 신경에 혈액 공급이 감소하거나 완전히 막힌다. 이와 같은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되면 신경이 점점 손상되어 나중에는 치료를 하더라도 신경 회복이 힘들다.

 따라서 치료하지 않고 계속해서 방치하게 되면 다리가 마비되어 걷기가 힘들어지거나 대‧소변 장애, 성기능 장애를 겪게 될 수 있다.
...................................................................................................................................................................................

◈ 작성기준 ◈

○ 건강보험 급여실적(의료급여, 비급여, 한의분류 제외), 주상병 기준(부상병 제외)
○ 수진기준(진료인원은 약국진료건 제외), 2021년은 2022년 6월 지급분까지 반영, 미청구분 자료 있을 수 있음
○ 진단명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호소, 증세 등에 따라 1차진단명을 부여하고 청구한 내역중 주진단명 기준으로 발췌한 것이므로 최종 확정 된 질병과는 다를 수 있음. 본 자료는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에 근거한 자료이므로 실제 유병자료와는 차이가 있음
○ 대상 질병코드 : M48(척추관협착증)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사무소 : 02-833-7676  FAX: 834-7677
  • 세종.대전. 충청지역본부: 044-866-7677
  • 부산.경남지역본부: 051-518-7677
  • 경기지역본부 : 031-492-8117
  • 광주.호남지역본부 : 062-956-7477
  • 본사 : 대구광역시 수성구 국채보상로200길 32-4 (만촌동)
  • 053-746-3223, 283-3223, 213-3223.
  • FAX : 053-746-3224, 283-3224.
  • 신문등록번호 : 대구 아 00028
  • 등록일 : 2009-07-29
  • 사업자번호 502-27-14050
  • 발행인 : 李恒英
  • 편집인 : 李日星
  • 독자제보. 민원 010-2010-7732, 010-6383-7701
  • 이메일 sunstale@hanmail.net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예원 부장
  • Copyright © 2024 썬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unsta@sunnews.co.kr
  • 인신위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