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이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해법안에 대한 반발 등으로 3주 연속 하락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소폭 떨어져 33%를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7일 나왔다.
한국갤럽이 지난 14∼1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천 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윤 대통령의 직무 수행 긍정 평가는 33%, 부정평가는 60%로 각각 집계됐다.
직전 조사(3월 8∼9일)보다 긍정평가는 1%p 떨어졌고, 부정평가는 2%p 올랐다.
긍정 평가 이유는 '노조 대응'(18%), '외교'(9%), '일본 관계 개선'(7%), '경제·민생'·'주관·소신'(이상 5%), '결단력·추진력·뚝심'·'전 정권 극복'·'공정·정의·원칙'(이상 4%) 등의 순이었다.
부정 평가 이유는 '일본 관계·강제동원 배상 문제'·'외교'(이상 15%), '경제·민생·물가'(10%), '독단적·일방적'(7%), '소통 미흡'·'노동 정책·근로시간 개편안'(이상 4%) 등이었다.
한국갤럽은 "정부는 지난 3월 6일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제3자 변제안과 근로시간 개편안을 발표했는데, 부정 평가 이유에서는 노동 문제보다 일본·외교 지적 사례가 훨씬 많다"고 분석했다.
최대 주 69시간까지 근무할 수 있게 하는 정부의 근로시간 개편안에 대해서도 물었다.
'바쁠 때 몰아서 일하고 길게 쉴 수 있어 찬성'이라는 응답이 36%, '불규칙·장시간 노동, 삶의 질 저하 우려돼 반대'라는 응답이 56%였다.
갤럽은 "대부분의 응답자 특성에서 부정적 시각이 우세하다"며 "특히 30~40대와 사무직 등에서 강하다"고 풀이했다.
반대 비율을 연령대별로 보면 40대가 68%로 가장 많았고 30대도 67%로 비슷했다. 20대와 50대는 각각 59%였다.
응답자의 60%는 현행 주52시간제가 '적정하다'고 평가했고, 19%는 '많다', 16%는 '적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