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진 외교부 장관은 한일 정상회담 후속 조치로 “연내 기시다 후미오 총리 답방 등 셔틀외교 지속과 고위급 교류·소통을 활성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 장관은 21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 현안 보고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방일을 통해 “정상 간 신뢰 제고로 협력의 기반을 다지고 미래 지향적 관계 발전에 공감대를 확인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강제동원 해법을 발표한 지 열흘 만인 지난 16일 이틀 일정으로 일본 도쿄를 방문해 기시다 총리와 정상회담을 했으며, 일본이 의장국인 오는 5월 히로시마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도 초청받았다.
박 장관은 “양국 간 협력 강화를 통해 동북아와 세계 평화에 기여하기 위한 토대를 다지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히로시마 G7 정상회의 계기 방문을 통해 양 정상 간 신뢰와 협력의 대화를 이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일관계 정상화가 우리 국민에게 새로운 자긍심을 불러일으키고 우리 국민과 기업들에게 커다란 혜택으로 돌아가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박 장관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지소미아의 완전 정상화 조치를 언급하며 “화이트리스트 조치의 최단기간 복귀도 조속히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한반도 및 역내 정세 관련 한미일 협력을 심화 확대하고 아울러 한일중 3국 정상대화를 추진하겠다”고도 했다.
박 장관은 ‘제3자 변제’를 골자로 하는 강제동원 해법에 대해선 “문제 해결의 ‘끝’이 아닌 진정한 ‘시작’”이라며 “한일관계의 미래지향적인 발전을 위해서 경제계를 포함한 민간이 자발적으로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해법의 원활한 이행을 위해 피해자 및 유가족을 일일이 접촉해 정부 해법에 대한 설명과 이해를 높이는 진정성 있는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