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6일 정부가 발표한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문제 해법에 처음으로 직접 입장을 밝혔다.
윤 대통령은 7일 "피해자의 입장을 존중하면서 한일 양국의 공동 이익과 미래 발전에 부합하는 방안을 모색해 온 결과"라고 설명했다.
'미래지향적 한일관계로 나아가기 위한 결단'이라는 입장을 어제 대변인을 통해 전달한 데 이어,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내놓은 것이다.
특히 '피해자의 입장을 존중했다'는 말은 '피해자를 무시했다'는 야당 등의 주장을 반박한 것으로 해석된다.
윤 대통령은 정부는 과거부터 합당한 배상을 위해 노력해왔다면서, 지난 1974년과 2007년에는 특별법을 만들어, 정부가 재정으로 배상해드렸다고 말했다.
과거에도 일본 측의 '직접 배상'이 아닌 우리 정부의 '간접 배상'이었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일본이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협력 파트너'가 됐다는 3.1절 기념사를 재차 언급하면서, 한일관계 개선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한일 교역 규모는 우리나라 전체 교역 규모에서 6~7%에 이르고, 우리 기업에 대한 외국인 직접 투자는 일본과 일본 기업의 투자 규모가 전체의 22%가 넘는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한일의 미래지향적 협력은 세계의 평화와 번영도 지켜줄 거라며, 양국의 협력체계 구축 방안을 준비해 달라고 당부했다.
다만, 일본이 과거 '군국주의 침략자'였다는 표현 외에 일본 측의 책임을 거론하거나, 일본 정부나 피고 기업의 전향적인 호응을 주문하는 말은 없었다.
저작권자 © 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